::: 로그인후 글쓰기 버튼이 나타납니다. 이용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마음이란 무엇일까? - 18단 김덕전 단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 747회 작성일 2015-10-24 21:59본문
마음이란 무엇일까?
18단 김덕전 단원
과연 ‘마음’이란 무엇일까요? 원불교 용어 사전에는 마음이란 “일원상의 진리, 우주의 주인, 만물의 창조주. 인간의 본래 모습”이라고 정의되어 있더군요. 살아 숨 쉬는 모든 생명체는 다 지니고 있는 이 ‘마음’을 ‘사람의 마음’으로 국한해 생각해 보면 각기 개인의 마음이 다르고, 한 개인의 마음도 기쁨과 슬픔, 감사와 원망, 희망과 절망, 행복과 불행 등 시시때때로 변화하는 걸 보면 참 묘한 것 같습니다.
혹시 ‘인사이드 아웃’이라는 영화를 보셨나요? 모든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감정 컨트롤 본부, 그곳에는 밤낮으로 열심히 일하는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 이렇게 다섯 감정들이 있습니다. 이사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주인공 ‘라일리’를 위해 이 다섯 감정은 그 어느 때보다 바쁘게 감정의 신호를 보내지만 우연한 실수로 ‘기쁨’과 ‘슬픔’이 본부를 이탈하게 되자 주인공 ‘라일리’는 명랑하고 긍정적이었던 모습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라일리’가 지금의 제 모습과 똑 닮아 있습니다. 기쁨보다는 슬픔이, 감사보다는 원망이, 희망보다는 절망이 제 마음을 가득 채우는 경우가 더 많죠. 감정 컨트롤 본부의 잦은 고장을 알면서도 내버려둔 결과가 바로 지금 모습인 것 같습니다. 정산종사님께서는 법훈편 11장에서 『지식과 자각이 다르나니, 지식을 얻은 뒤에 자각이 따르지 아니하면 평생 지식의 종노릇밖에 못 하나니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우리의 모든 감정과 생각과 행동은 내 마음의 조화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머리로는 알면서도 제가 ‘라일리’로 변해 있는 건 깨닫지 못함의 결과겠지요.
대종경 요훈품 3장 『마음이 선하면 모든 선이 이에 따라 일어나고, 한 마음이 악하면 모든 악이 이에 따라 일어나나니, 그러므로 마음은 모든 선악의 근본이 되나니라.』의 말씀을 다시 한 번 마음속에 새기며 고장 난 감정 콘트롤 본부를 빨리 수리해서 원래의 ‘德田’ 으로 되돌아 가기를 다짐해 봅니다.
18단 김덕전 단원
과연 ‘마음’이란 무엇일까요? 원불교 용어 사전에는 마음이란 “일원상의 진리, 우주의 주인, 만물의 창조주. 인간의 본래 모습”이라고 정의되어 있더군요. 살아 숨 쉬는 모든 생명체는 다 지니고 있는 이 ‘마음’을 ‘사람의 마음’으로 국한해 생각해 보면 각기 개인의 마음이 다르고, 한 개인의 마음도 기쁨과 슬픔, 감사와 원망, 희망과 절망, 행복과 불행 등 시시때때로 변화하는 걸 보면 참 묘한 것 같습니다.
혹시 ‘인사이드 아웃’이라는 영화를 보셨나요? 모든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감정 컨트롤 본부, 그곳에는 밤낮으로 열심히 일하는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 이렇게 다섯 감정들이 있습니다. 이사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주인공 ‘라일리’를 위해 이 다섯 감정은 그 어느 때보다 바쁘게 감정의 신호를 보내지만 우연한 실수로 ‘기쁨’과 ‘슬픔’이 본부를 이탈하게 되자 주인공 ‘라일리’는 명랑하고 긍정적이었던 모습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라일리’가 지금의 제 모습과 똑 닮아 있습니다. 기쁨보다는 슬픔이, 감사보다는 원망이, 희망보다는 절망이 제 마음을 가득 채우는 경우가 더 많죠. 감정 컨트롤 본부의 잦은 고장을 알면서도 내버려둔 결과가 바로 지금 모습인 것 같습니다. 정산종사님께서는 법훈편 11장에서 『지식과 자각이 다르나니, 지식을 얻은 뒤에 자각이 따르지 아니하면 평생 지식의 종노릇밖에 못 하나니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우리의 모든 감정과 생각과 행동은 내 마음의 조화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머리로는 알면서도 제가 ‘라일리’로 변해 있는 건 깨닫지 못함의 결과겠지요.
대종경 요훈품 3장 『마음이 선하면 모든 선이 이에 따라 일어나고, 한 마음이 악하면 모든 악이 이에 따라 일어나나니, 그러므로 마음은 모든 선악의 근본이 되나니라.』의 말씀을 다시 한 번 마음속에 새기며 고장 난 감정 콘트롤 본부를 빨리 수리해서 원래의 ‘德田’ 으로 되돌아 가기를 다짐해 봅니다.